[간염 항체 검사 계기]
남동생이 어쩌다 혈액검사를 받게 되었는데, B형 간염 항원 양성 반응이 나왔습니다. B형 간염은 만성으로 진행될시 평생 관리해야하기 때문에 가족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요즘은 관리만 잘 하면 크게 문제없다지만 그래도 남들보다 하나 더 신경쓰며 살아야하는 것이 좋은 건 분명 아니니까요. 가족들도 다들 B형 간염 여부를 확인해야했기에, 저 또한 보건소에 급히 가서 B형 간염 항원항체 검사를 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정밀검사 결과 남동생은 음성으로 나와서 B형 간염 걱정으로부터 해소되었답니다. 저 또한 항체 보유로 나와서 이제 건강검진 시 항상 "모른다"라고 체크하던 B형 항체 여부를 "있음"으로 학신하게 되어서 좋은 계기였다고 생각합니다. 간염, 그 중에서도 B형 간염에 대해 약간 알아보고 항체 검사 후기를 공유드립니다.
[간염이란 ?]
간염은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바이러스 감염이 주요 원인입니다. 대표적인 바이러스성 간염으로는 A형, B형, C형 간염이 있으며, 각각 원인 바이러스와 전파 경로, 증상, 치료법이 다릅니다. 간염은 급성으로 짧게 앓고 회복되는 경우도 있지만, 특히 B형과 C형 간염은 만성으로 진행되어 간경변이나 간암과 같은 중대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발견과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간염은 백신 접종, 위생 관리, 안전한 의료 행위 등을 통해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항체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와 면역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건강 관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
간염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됩니다.
✅ A형 간염 (Hepatitis A)
원인: A형 간염 바이러스(HAV)
전파 경로:
- 주로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을 통해 경구 감염
- 위생 상태가 나쁜 지역에서 흔함
잠복기: 약 15~50일 (평균 28일)
증상:
- 피로, 식욕 부진, 구역질, 황달, 고열 등
- 대부분 급성으로 진행되고 회복됨
만성 여부: ❌ 없음 (만성으로 진행되지 않음)
예방: ✅ 백신 접종, 개인 위생 관리
치료: 특별한 항바이러스 치료 없음 (대증 요법으로 자연 회복)
✅ B형 간염 (Hepatitis B)
원인: B형 간염 바이러스(HBV)
전파 경로:
- 혈액, 정액, 체액 접촉
- 수직 감염(어머니 → 아기), 성 접촉, 오염된 주사기 등
잠복기: 약 30~180일
증상:
- 급성기에는 피로, 황달, 메스꺼움 등
- 만성화되면 간경변,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음
만성 여부: ⭕ 있음
- 특히 신생아 감염 시 약 90%가 만성화
예방: ✅ 백신 접종 (신생아 필수), 혈액/체액 접촉 주의
치료:
- 급성기: 대증 치료
- 만성기: 항바이러스제(테노포비르, 엔테카비르 등) 사용
✅ C형 간염 (Hepatitis C)
원인: C형 간염 바이러스(HCV)
전파 경로:
- 혈액을 통한 전파
- 수혈, 문신, 피어싱, 오염된 의료기구 등
- 성 접촉이나 수직 감염은 드묾
잠복기: 약 2주 ~ 6개월
증상:
-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고 무증상 진행이 흔함
- 만성화되면 간경변, 간암 위험 증가
만성 여부: ⭕ 있음
- 약 75~85%가 만성으로 진행
예방: ❌ 백신 없음
- 혈액 감염 예방이 중요
치료: ✅ 완치 가능한 항바이러스제(DDA: Direct-Acting Antivirals) 있음
- 치료 성공률 95% 이상
✅ A형 / B형 / C형 비교
구분 | A형 | B형 | C형 |
원인 바이러스 | HAV | HBV | HCV |
전파 경로 | 오염된 음식, 물 | 혈액, 체액, 수직감염 | 혈액 |
만성화 여부 | ❌ 없음 | ⭕ 있음 | ⭕ 있음 |
백신 | ✅ 있음 | ✅ 있음 | ❌ 없음 |
치료 | 대증요법 | 항바이러스제 | 완치 가능한 항바이러스제 |
간경변/간암 위험 | 낮음 | 높음 (만성 시) | 높음 (만성 시) |
[B형 간염]
B형 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HBV)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 간 질환으로, 간에 염증을 일으켜 간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급성(단기)과 만성(장기)으로 구분됩니다.
급성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6개월 이내의 상태를 말하며, 대부분의 성인은 이 기간 동안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완전히 회복합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경미한 증상만 보여 감염 사실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만성 B형 간염
6개월 이상 바이러스가 체내에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만성 간염 환자는 간경변, 간암 등 심각한 간 질환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습니다. 특히, 신생아나 어린 나이에 감염될수록 만성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파 경로
: B형 간염 바이러스는 주로 감염된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파됩니다. 주요 전파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수직 감염: 감염된 어머니로부터 신생아에게 출생 시 전염되는 경우입니다.
- 성 접촉: 감염된 파트너와의 성관계를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 혈액 노출: 오염된 주사바늘, 침, 문신 도구 등을 공동으로 사용하거나, 감염된 혈액에 손상된 피부나 점막이 노출될 경우 감염될 수 있습니다.
증상
: 많은 경우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일부에서는 피로, 식욕 부진, 메스꺼움, 구토, 복통, 황달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방 및 관리:
- 예방접종: B형 간염 백신은 효과적인 예방 수단으로, 신생아 및 항원·항체가 없는 성인은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권장됩니다.
정기적인 건강검진: 만성 B형 간염 환자는 정기적인 간 기능 검사와 바이러스 활성도 평가를 통해 간 건강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생활습관 개선: 알코올 섭취를 줄이고, 균형 잡힌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간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B형 간염은 적절한 예방과 관리로 합병증을 줄이고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예방접종과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간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B형 간염 항원/항체 검사 후기 (수원 권선구 보건소)]
평일 점심 잠시 일이 있어 나온 차에 근처 보건소를 들려서 항체 검사를 진행했었습니다. 수원 살 때 몇 번 들렀던 곳인데, 이렇게 또 방문을 하게 되네요. 참고로 저는 수원 사람은 아닙니다. 해당 시/도 주민이 아니어도 이용에 문제 없습니다.
보건소 방문 및 검사
주차 및 점심시간
보건소 앞은 주차장이 꽤 넓은 편이나, 항상 차들이 빽빽 들어차 있는 듯 합니다. 주변에 구청 주차장등을 이용하는 것도 방법인듯 합니다. 경인지방 우정청은 더 주차 대수가 적어서 비추천드립니다. 저는 우연히 자리가 남아 있어 잘 주차하였답니다.
접수처는 12시~13시 점심시간입니다. 피해서 오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해당 시간에 왔다면 신청서를 미리 작성하고 대기표를 뽑고 기다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접수처는 13시 부터 다시 업무시작이지만, 제가 방문한 날엔 12시 55분 쯤부터 접수를 시작해 주셨답니다.
신청서 작성 및 접수
신청서 작성처엔 여러 신청서가 있었습니다. B형 간염 예방접종은 항원,항체 검사 음성 결과지가 있어야 접종이 가능하네요. 저는 항체 여부를 모르며, 결과지도 없으니 애초에 생각한 바와 같이 간염검사를 받는 신청을 하였답니다.
* 이와 별개로, B형 간염 예방 접종은 요일/시간 (수원 기준 - 화/목요일, 9~11/13~15시) 제한이 있으니 미리 확인 후 방문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간염검사는 이런 제한은 없네요.
간염 검사는 신청서 제일 아래에 있었습니다. B형간염 검사이므로 29,970원을 결제하였답니다.
대기표에서 번호를 뽑고, 검사 신청서를 제출 후 2층 검사실로 가라는 안내를 받습니다.
검사 (채혈)
검사는 검사실로 가시면 되며 채혈, 그러니깐 피를 뽑는 검사를 합니다. 결과를 바로 알 순 없으며 일주일 뒤 보건소로 다시 방문하거나, 인터넷으로 조회하시면 됩니다.
[검사 결과 확인]
저는 수원 사람이 아니기에, 다시 방문할 시간이 없어 인터넷으로 결과를 확인하였습니다. 권선구에서 발행해준 계산서/영수증에는 http://www.e-health.kr/ 로 방문시 결과 확인이 가능하다고 URL이 적혀있습니다.
하지만, 들어가시면 비트컴퓨터 회사 홈페이지가 뜨죠. 순 엉터리입니다.
https://www.e-health.go.kr/로 들어가셔야 합니다. (안내상 url에 .go 글자를 빼먹은 것이지요.)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운영하는 온라인민원 서비스,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등 제증명 발급, 의료비지원 등 안내
www.e-health.go.kr
공공보건포털로 들어가셔서 민원서비스 - 진료/검사현황 조회 - 검진/검사결과 조회로 접속합니다. 정보동의 란에 체크를 하고 본인인증을 거치시면 검진/검사결과 조회가 가능합니다. B형 간염 검사결과는 [임상병리검사] 란에 있습니다.
상세보기를 누르시면 새 창으로 조회결과가 뜹니다. 저는 항원은 음성(정상 - 미감염)이며 항체는 양성(정상 - 항체있음)이네요. 항체를 보유하고 있으니 별도의 예방접종은 필요하지 않겠습니다.
[마치며]
이번 일을 계기로 B형 간염에 대해 다시금 깊이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평소에는 별일 없겠지 하고 지나쳤던 간염 항체 여부가, 가족 중 누군가의 검사 결과로 인해 내 일처럼 다가왔고, 그것이 제 건강도 되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다행히 결과가 모두 좋았지만, 혹시 모를 위험에 대비해 사전에 확인하고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큰 안심이 되었습니다.
건강은 늘 가까이 있지만 자주 놓치는 존재입니다. 특히 간염처럼 초기에 증상이 없어 방심하기 쉬운 질병일수록 더더욱 그렇습니다. 저처럼 B형 간염에 대해 '모른다'라고 답해왔던 분들이라면, 이번 글을 계기로 한 번쯤 항체 검사를 받아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작은 확인이 큰 안심으로 돌아올 수 있으니까요.
'일상 및 경험 팁 > 일상 속 정보·경험·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3월|동탄호수공원 지하주차장 요금 (+주차타워 정보) (3) | 2025.04.01 |
---|---|
DVD플레이어 구매 후기 [에듀플레이어 EA70m→EA400] (0) | 2025.03.19 |
고층 아파트에 살면 정말 건강에 안 좋을까? (0) | 2025.02.21 |
아띠래빗 LCD 곰돌이 태블릿 드로잉패드 (LCDPAD_01) 구매 & 실사용 후기 (0) | 2025.02.15 |
크라운제과 ‘붕붕스포츠카’ 후기 – 아이와 함께한 달콤한 조립 시간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