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및 경험 팁/일상 속 정보·경험·팁

고층 아파트에 살면 정말 건강에 안 좋을까?

by 로브로브 2025. 2. 21.

Is Living in a High-Rise Apartment Really Bad for Your Health?

 

 고층 아파트 거주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난임, 유산, 소화 장애, 정신 건강 문제 등이 고층 거주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오는데요. 정말 사실일까요? 실제로 저에게 그 영향을 물어본 지인이 있어, 이번 글에서는 고층 아파트에서 거주할 때 발생할 수 있는/제기되는 건강 문제와 과학적 근거를 살펴보겠습니다.

[고층의 기준은?]

먼저, 고층 아파트의 정의부터 알아볼까요?

건축법 기준

- 한국 건축법에서는 높이 30m(약 10층 이상)을 고층 건축물로 분류합니다.

- 미국에서는 7층 이상은 중층(mid-rise), 12~20층 이상은 고층(high-rise), 40층 이상은 초고층(skyscraper)으로 구분됩니다.

건강 연구에서의 고층 기준

-일부 연구에서는 10층 이상부터 사회적 고립과 정신 건강 문제 가능성이 증가한다고 보고합니다.

- 캐나다 연구(2016)에 따르면, 16층 이상 거주자는 1~3층 거주자보다 심장마비 생존율이 낮다는 결과도 있었습니다. (출처: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 오존 농도는 20~30층 이상에서 더 높을 수 있음이 보고되었습니다. (출처: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2018)

[고층 거주와 건강 문제?]

1. 난임과 유산 🤰

일부 연구에서는 고층 거주가 난임과 유산 위험을 높일 가능성을 제기합니다.

원인으로는 낮은 기압과 산소 농도의 미세한 변화, 신체 활동 부족, 생활 습관 차이 등이 지목됩니다.

하지만 과학적으로 명확히 입증된 바는 없으며, 개인의 건강 상태와 생활 방식이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2. 소화 장애 🤢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져 위장 내 가스 팽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소화 장애, 복부 팽만감, 속 쓰림 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층 아파트(100m 이하) 수준에서는 체감할 정도의 변화는 거의 없습니다.

3. 정신 건강 문제 🧠

고층 거주는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사회적 고립 증가: 저층 거주자보다 이웃과의 교류가 줄어들 가능성이 큽니다.

- 우울증 및 불안장애 위험: 외출이 번거로워 활동량이 줄어들면 정신 건강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자살률 증가 가능성: 한 연구에서는 고층 아파트 거주자의 자살율이 저층 거주자보다 높을 수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출처: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07)

하지만 위의 결과를 보면 화학적/물질의 원인이 아니라 외출의 번거로움 등 사회 생활에 의한 영향인자임을 알 수 있습니다.

4. 수면 및 생활 패턴 변화 🌙

- 빛 공해 문제: 높은 층에서 야경을 감상하는 장점이 있지만, 빛 공해로 인해 수면의 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소음 문제: 저층에서는 도로 소음이 문제지만, 30층 이상에서는 강한 바람 소음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신체 활동 감소: 엘리베이터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계단 이용이 줄고, 자연스러운 운동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큽니다.

5. 응급 상황 대처 🚨

- 고층 거주의 또 다른 단점은 응급 상황 발생 시 대응이 어렵다는 점입니다.

화재 및 응급 구조 지연: 고층에서는 화재나 응급 상황 발생 시 대피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출산 합병증 증가 가능성: 일부 연구에서는 고층 거주자가 저층 거주자보다 출산 합병증 위험이 높을 수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출처: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2013)

[고층 거주 시 건강을 지키는 방법]

고층 거주가 무조건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생활 습관을 조정하면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운동량 유지: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 이용을 늘려 신체 활동량을 증가시킵니다.

사회적 교류 확대: 이웃과의 교류를 늘리고, 외부 활동을 적극적으로 계획합니다.

수면 환경 개선: 암막 커튼 사용, 블루라이트 차단 등을 통해 숙면을 유도합니다.

응급 대책 마련: 응급 키트를 준비하고, 대피 경로를 숙지해둡니다. 라인당 엘리베이터가 2대 이상인 집에 거주하는 것도 좋은 대안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결론: 고층 거주, 건강과의 관계는?]

고층 아파트 거주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릅니다. 단순히 층수가 높은 것만으로 건강이 나빠지는 것은 아니지만, 운동 부족, 사회적 고립, 응급 대처 문제 등의 위험 요소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고층에 거주하는 경우라고 무조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운동 부족과 사회적 고립이 원인인 것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 고층 거주자가 아니더라도 해당되는 내용이며 운동, 사회 활동, 생활 습관을 조절하여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