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고향사랑기부제가 시행됩니다. 저도 해당 정책이 시행되었다는 걸 알게된 건 6월 즈음이었으나, 당시 시스템에 미비한 점이 많다 생각하였고, 회원 가입 등 절차에 에러가 발생하자 '나중에 하지 뭐.' 하는 생각으로 미루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12월이 되었죠. 이제 더 미룰 수도 없고 시스템도 많이 활성화 되었기에 저도 이번에 고향사랑기부제에 동참하게 되었고, 그 방법과 후기를 공유드립니다.
추진 목적
개인의 자발적 지역사회 기부를 통한 지방재정 확충 / 지방특산품 등을 답례품으로 제공하여 지역사회 활성화.
※ 일본 ‘고향납세제’ 제도를 벤치마킹한 사례
![고향사랑기부제1](https://blog.kakaocdn.net/dn/ce8y6N/btsB7eV00rw/7Ak7LK0dUfGlkmxgPBWIw0/img.png)
주요 내용
1) 기부주체/대상
개인(법인불가) /주민등록 주소지 외 전국 모든 지자체*
* (예시) 수원시민은 경기도와 수원시를 제외한 모든 지자체에 기부 가능
2) 기부 상한액
1인당 연간 500만원
- 지자체는 기부금의 30% 이내에서 답례품 제공 가능
3) 세액공제
10만원까지 전액 공제, 10만원 초과분 16.5%* 공제
* (예시) 100만원 기부시 24.8만원 공제(10만원 + 초과분 90만원의 16.5%인 14.8만원)
사람들이 나에게 물어본 것
- 얼마까지 할까?
10만원까지 전액 세액공제입니다. 그 이상은 초과분에 한해 16.5% 세액공제이며, 500만원 한도입니다. 원하는 높은 포인트의 답례품이 있거나 많은 기부를 원하실 경우 더 많은 금액을 하셔도 좋지만, 올해는 시행 첫 해이니만큼 가볍게 100% 연말정산 세액공제 받는 10만원 정도로 해보시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 언제까지 해야하나?
![고향사랑기부제2](https://blog.kakaocdn.net/dn/xiy8u/btsCf6I8bE8/fdX0ORfVfxkSlMQxAJZU70/img.jpg)
연말정산과 관련되므로 12월 31일에 마감됩니다. 하지만 여유를 두고 회원가입하여 구매 하시는 것이 급하지 않고 천천히 원하는 것을 답례품으로 고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답례품 뭐 할까?
정해진 답은 없습니다. 본인이 받고싶은 것, 필요한 것을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는 원래 쌀을 받으려 하였습니다.(어떻게든 먹게 될테니) 하지만, 고향사랑기부로 받은 쌀 품질이 좋지 않았다는 회사 동료의 경험담으로 인해, 돼지고기로 받기로 하였습니다. 아래 후기 내용에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저는 돼지고기(삼겹살)을 답례품으로 받았습니다.
- 연말 정산 때 서류는 어떻게 해야하지?
기부하면 자동으로 국세청 신고되기 때문에 별도의 서류는 불필요합니다.
* 그 외 또 가질 수 있는 궁금하신 점은 해당 설명 사이트가 도움이 될 듯 합니다.
https://www.wegive.co.kr/wezine/detail/466#page1&bbs_ix=466&bbs_type=wezine
고향사랑기부제 기부금 세액공제의 모든 것 (with.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기부금 세액공제의 모든 것 (with.위기브)
www.wegive.co.kr
고향사랑기부제 사이트
https://www.ilovegohyang.go.kr/main.html
고향사랑e음
고향사랑e음 시스템을 통해 기부희망 지자체에 열악한 지방재정 확충에 기여 하고, 대상지자체로부터 답례품을 제공받을수 있는 종합정보시스템
www.ilovegohyang.go.kr
고향사랑기부제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10만원까지 전액 세액공제 무료 답례품! 직장인은 안 하면 바보!
www.wegive.co.kr
고향사랑e음과 위기브가 있습니다. 저는 고향사랑e음을 통해서 기부를 진행하였고, 아래 그 후기를 작성하였습니다.
진행 방법 / 직접 진행한 후기
1) 회원가입
![고향사랑기부제3](https://blog.kakaocdn.net/dn/crNSSj/btsB6vcHF1p/f9DKp0DA1bW97q5F1orYjk/img.jpg)
![고향사랑기부제4](https://blog.kakaocdn.net/dn/OthrM/btsB7jiKxwZ/o1r6zu5DYddfb2WrtqHQE1/img.jpg)
![고향사랑기부제5](https://blog.kakaocdn.net/dn/bO49LC/btsCfCVPveg/dDeF6ggyysj0vTcubW1pLk/img.jpg)
제일 먼저 하면 좋은 것은 회원가입입니다. 사이트 들어가시면 우상단 작은 단추 중 로그인/회원가입 메뉴가 있습니다. 계정이 이미 있으신 분은 로그인을 하시면 되고, 없으신 분은 회원가입을 진행합시다. 저는 회원가입으로 진행하였고, 본인인증은 휴대폰으로 하였습니다. 요즘은 알뜰폰도 본인인증이 문자로 잘 되니 편하네요.
2) 답례품 or 기부할 고향 정하기
로그인을 하셨으면, 이제 답례품을 정해봅시다. 저희는 세액공제를 전액 환급받는 10만원 한도로 기부를 할 것이며, 이 경우 지자체의 포인트 제공은 기부액의 30%입니다. 즉 3만 포인트죠. 3만 포인트를 넘지않는 답례품을 고릅니다. 배송비는 대개 무료더군요. 저는 한정수량으로 특가 이벤트를 하던 충청남도 논산시에 기부를 하기로 하였습니다. 혹시 제 고향이 충남 논산이냐구요? 전혀 아닙니다. 전 군대도 102보충대 가느라 논산은 땅도 안 밟아본 사람입니다. 본인이 현재 거주하는 도시/도가 아니면 어떤 지역이든 고향으로 기부할 수 있습니다. 바로선택 옆 하트표시를 눌러서 즐겨찾기/찜을 해놓으시면 나중에 다시 찾기 쉬워요.
![고향사랑기부제6](https://blog.kakaocdn.net/dn/bwIugT/btsB6tslDdl/WNjU9vqgRFpP9bqrper5gk/img.jpg)
저는 현재 기부를 안 한 상태이므로 화면 상에 [X 포인트 부족] 표시가 뜹니다. 오른편에 기부하기 버튼을 누릅시다.
![고향사랑기부제7](https://blog.kakaocdn.net/dn/b22SpU/btsB8TqFhC0/Y1KG5FKg2A1SpU1d7JzKxk/img.png)
![고향사랑기부제8](https://blog.kakaocdn.net/dn/btzOul/btsCgp2SiRX/peH7BMwBOSrZ1UJBdRlxE1/img.png)
들어가면 기부가 가능한지 여부가 먼저 뜹니다. 저는 가능하네요. 기부금은 100,000을 입력합니다. 답례품 지급 및 기타 사항은 [답례품 제공 받음]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포인트를 받아요!
3) 지방세 납부
원하시는 기부 금액을 입력하시고 다음으로 넘어가면 지방세 납부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저는 신용카드로 납부하였습니다. 간편결제(신용카드) 납부방법을 선택하시면 각 카드사 pay 어플로 간편하게 납부가 가능하십니다.
![고향사랑기부제9](https://blog.kakaocdn.net/dn/elo8Ti/btsCfz5RInw/WtqKkqnSsGAqFWvftWmWy0/img.jpg)
![고향사랑기부제10](https://blog.kakaocdn.net/dn/KHpu4/btsCg6hG23U/uuKLu2Ef1UpeJKsoQrLU8K/img.png)
![고향사랑기부제11](https://blog.kakaocdn.net/dn/bjUQCX/btsCc5jNtyC/QI3wp4Jks9AW6DS3LkOM20/img.png)
납부를 하고나면 기부 금액과 기부 지자체, 그리고 제공 예정 포인트가 표시됩니다. 저는 포인트가 바로 떴는데, 주변 사람들 후기를 들어보면 포인트 들어오기까지 시간이 살짝 걸리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4) 답례품 주문
![고향사랑기부제12](https://blog.kakaocdn.net/dn/Sb0fs/btsB8TD58XP/VOAUsTTbTAfwLV0DSrIpl0/img.jpg)
포인트가 들어왔으니 다시 해당 페이지로 들어옵시다. 이제 [X 포인트 부족] 표시가 [V 주문가능]으로 변경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선택을 눌러 구매합시다.
![고향사랑기부제13](https://blog.kakaocdn.net/dn/k5Tr7/btsCgZQnNaD/NCR72btIK5ztsNYMHkGjW0/img.png)
여기부턴 다른 인터넷 몰에서 물건 구매하는 것과 절차가 비슷합니다. 수취인 이름과 연락처, 주소 등 정보를 입력하고 주문을 확정합니다. 받는 사람은 꼭 본인이 아니여도 됩니다. 저는 다음날 출장이라 근처 사는 친척에게 미리 양해를 구하고 그 쪽으로 보냈습니다.
느낀 점
- 무엇보다 후에 100% 세액공제 환급 받을 돈으로 쇼핑을 하니 기분이 좋았습니다.
- 가끔 지자체 별로 특이한 제품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식자재가 대부분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는 사업시행초기임을 감안하면 당연하다 생각됩니다.
- 애향심에 우리 고향도 들러보았지만, 결국 더 끌리는 답례품을 제시한 다른 지방을 후원하게 되었습니다. 저 뿐만 이렇게 행하진 않을 것이며, 시스템이 잘 정착된다면 이는 향후 지자체 간의 선의의 경쟁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겁니다.
본 제도가 추후 잘 정착되고, 미비점은 잘 보완하여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으면 합니다. 그리고 그에 따라 국민들은 더 다채로운 지역 특산 답례품을 획득하고, 지자체는 지방재정 확충의 통로가 될 수 있었으면 합니다.
'일상 및 경험 팁 > 일상 속 정보·경험·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J(월스트리트저널) 홈페이지에서 구독 취소/해지하는 방법 (6) | 2024.02.27 |
---|---|
중국 상용(M)비자 신청서류 작성 가이드 (0) | 2024.01.08 |
핑크퐁 아기상어 멜로디 버블밀대, 사용후기/고장(파손)/셀프수리 (0) | 2023.12.11 |
하우스키핑 서비스 체험 후기, [유라이프/동부케어] (0) | 2023.12.03 |
경기도 가정보육 어린이 과일지원 수령 후기 (0) | 2023.11.28 |